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Headline > Focus

보잉/ 에어버스, ‘45년 관세면제’ 상실 위기

미국 관세정책에 글로벌 항공 공급망도 큰 영향 받아 ?

  • 게시됨 : 2025-05-15 오후 2:24:33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로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과 유럽 항공기 제조업체 에어버스가 1980년대부터 누려온 무역 협정이 뒤집힐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양대 항공기 제조업체와 관련 부품 업체들은 관세 없이 민간항공기와 제트 엔진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었던 국제 무역 협정이 무효화되어 상당한 비용 증가에 직면하게 될 전망이다.

 

미국 항공우주산업협회 다크 하드윅 국제협력 담당 부회장은 “1980년 체결된 무역 협정은 미국 상업용 항공기의 유럽 수출 확대를 이끌었다. 이번 조치가 미국 항공·우주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을 크게 흔들어 타격을 줄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조치는 미국, 중국, 캐나다, 유럽연합(EU) 주요국을 포함한 다수 국가 간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에 따라 유지되던 민간항공기 무역에 관한 관세 면제를 무효로 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WTO 회원국 일부인 미국 등 30개국은 1980년에 민간용 항공기, 제트 엔진, 부품 및 관련 장비에 대해 수입 관세를 0%로 유지하기로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조치가 적용되면 항공기 제조 비용 증가는 물론 항공사 운영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이는 신규 항공기 구매부터 부품 교체까지 전반적인 비용 부담을 높일 전망이다.

 

관세 부과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날 보잉 주가는 8% 급락하는 등 항공우주 산업 전반에 매도세가 나타났다. 보잉은 자사 상업용 항공기의 약 80%를 수출하고 있으며, 프랑스·일본 등 해외 공급망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어 영향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에어버스 또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미국 앨라배마주 모바일 공장에서 항공기를 생산하는 에어 버스는 필요한 부품을 수입할 때 관세를 적용받게 된다. 또한 프랑스·독일 공장에서 생산된 항공기 역시 미국 시장 수출 시 관세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출처=한국항공협회>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새 정부 들어선 이후 여행업은?
KATA·한중연 정기 세미나 성황리 성료
팀미션 사기… 사기조직 부업 단톡방 운영, 여행업계 비상
‘대통령 선거 끝나면, 본격적으로 달려보자’
파라타항공, 8월 재출범… LCC ‘새 바람’ 예고
필리핀항공, 독립기념일 맞이 특가 프로모션
비엣젯항공, 토파스와 공동 발권 프로모션
핀에어, 역대 최대 규모 ‘라플란드’ 항공편 확대 운항
이탈리아 ITA항공, 항공사 동맹체 스타얼라이언스 합류 예정
40주년 맞은 서울국제박람회 성황리 성료
이번호 주요기사
40주년 맞은 서울국제박람회 성황리 성료
터키항공, 타이항공과 공동사업 계약 체결
롯데관광, 아프리카 비즈니스클래스 패키지 출시
고정용 고려여행사회장 차녀 결혼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