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탑승률

동남아 중 코나키나발루 탑승률 가장 높아

평균 탑승률 92% 달성, 베트남 다낭이 2위 차지해

  • 게시됨 : 2019-08-08 오후 5:05:09 | 업데이트됨 : 5분전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에디터 사진

 

7월 여름 성수기를 맞이해 동남아 지역 항공사들이 높은 탑승률을 기록하며 순항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주요 지역 탑승률을 비교한 결과, 인천에서 코타키나발루로 가는 평균 탑승률(92%)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타키나발루로 향하는 공급좌석 분포를 보면 진에어가 44%로 가장 많이 공급하고 있다. 진에어는 많은 좌석을 공급함에도 탑승률이 4개의 항공사 중에 가장 높은 탑승률을 달성했다. 에어서울은 전체 공급좌석의 16%를 차지하며 진에어와 동일한 93%의 실적을 보였다.

 

 

베트남 노선을 분석한 결과, 하노이와 다낭의 평균 탑승률이 10% 차이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에서 하노이로 가는 탑승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양민항의 저조한 탑승률로 인해 다른 지역 대비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대한항공이 52%, 아시아나항공의 탑승률은 54%로 한 달간 평균 항공기 반만 채워 운항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일한 외국 FSC인 베트남항공이 탑승률 92%를 기록하며 티웨이항공(96%) 다음으로 높은 탑승률을 보였다.

 

 

인천에서 다낭으로 가는 평균 탑승률은 88%로 모든 항공사에서 85% 이상의 실적을 보였다. 인천→다낭으로 가는 항공사 중 에어서울이 97%의 실적을 달성해 해당 노선 1위를, 티웨이항공이 근소한 차이로 95%의 탑승률을 보여 2위를 차지했다. 대한항공이 다낭으로 가는 가장 공급좌석 중 31%를 점유했고 진에어, 비엣젯항공이 24%, 16%를 차지했다.

 

 

에디터 사진

인천→싱가포르 노선에서는 싱가포르항공이 가장 많은 공급좌석을 점유했고 탑승률 또한 96%의 실적을 보이며 싱가포르 국적항공사의 위용을 과시했다. 싱가포르항공 자회사인 스쿠트항공 또한 적은 공급좌석을 운용해 92%의 탑승률을 달성했다.

 

 

한편, 지난 5월1일부터 주4회 일정으로 부산에서 싱가포르로 가는 노선에 신규 취항 일정을 발표한 실크항공은 지난 7월 한 달 동안 90%를 탑승률을 보이며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그 이후인 지난 7월4일 부산~싱가포르 노선에 새롭게 투입된 제주항공은 7월 한 달 동안 84%의 탑승률을 보이며 지방에서도 싱가포르 노선의 수요를 증명했다.

 

 

인천에서 마닐라로 가는 항공사에서는 대한항공이 64%의 가장 실적을 기록했고 반면 아시아나항공은 탑승률 90%를 달성해 해당 노선에서 가장 높은 탑승률 실적을 보유했다. 제주항공이 89%, 필리핀항공이 84%, 에어아시아 필리핀이 80%의 탑승률을 보이며 뒤를 이었다.

 

 

필리핀의 대표적인 휴양지 칼리보도 여름 성수기를 제대로 맞이하고 있다. 전체 항공사의 평균 탑승률은 87%로 이 중 에어서울이 94%의 가장 높은 실적을 보였다. 필리핀항공과 에어아시아 필리핀 또한 탑승률 90%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팬퍼시픽과 에어아시아 필리핀이 하루에 두 편식 항공기를 운항하며 전체 공급좌석의 25%씩 점유했다.

 

 

<김미루 기자> kmr@gtn.co.kr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NHN, 여행박사 사업 정리 본격화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에어로케이항공, 청주-기타큐슈 신규 취항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말레이시아 메가 세일 캠페인 2025 개최
올 여름 전세기 모객 어쩌나?
5월 내국인출국 239만명---2019년 대비 99.6% 회복
베트남, 천연동굴 ‘드래곤 펄 케이브’ 정식 개장
영남권 관광업계, 황진웅 초대 지회장 취임
비스터 빌리지, ‘더 빌리저’ 매체 론칭
이번호 주요기사
비욘드코리아, 아우스트랄리스 크루즈 상품 소개
발트 3국, 로드쇼… 중세와 현대의 조화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의 진짜 매력을 전하다
영남권 관광업계, 황진웅 초대 지회장 취임
투르크메니스탄항공, 인천-이스탄불 노선 신규 취항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올 여름 전세기 모객 어쩌나?
5월 내국인출국 239만명---2019년 대비 99.6% 회복
[2025년7월첫째주] 여행사 홈쇼핑 실적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