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탑승률

시즌 맞은 호·뉴 강세

10월 지역별 평균 탑승률

  • 게시됨 : 2019-11-07 오후 6:45:34 | 업데이트됨 : 5일전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에디터 사진

 

에디터 사진

 

 

중국·동남아… 공급&수요 집중

일본… 공급석, 탑승률 모두 하락

 

 

10월, 가장 높은 평균 탑승률을 기록한 지역은 대양주다. 지난 9월 평균 탑승률 78.7%를 기록했던 대양주는 시즌을 맞은 호주와 뉴질랜드 수요가 증가하면서 평균 탑승률을 83.7%까지 끌어올렸다. 괌과 사이판을 제외한 호주, 뉴질랜드 지역의  평균 탑승률은 95.2%이며 아시아나항공의 시드니 노선은 99%의 탑승률을 기록했다.  

 

 

동남아와 중국 지역도 지난 9월 대비 평균 탑승률이 크게 상승했다. 해당 지역은 공급석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요 증가도 동반되면서 각각 평균 탑승률을 5%, 7% 가까이 끌어올렸다.

 

 

동남아와 중국 지역의 공급 좌석수는 각각 149만6677석, 73만6093석으로 41.8%, 20.6%의 점유율을 보였다.

 

 

평균탑승률 96%, 88%를 기록한 베이징과 칭다오 지역이 꾸준한 사랑을 받은 반면 레저시장에서 크게 기대를 모았던 장자제와 계림(구이린)은 각각 62.7%와 75.8%로 평균 이하의 저조한 탑승률을 보였다.

 

 

동남아 지역의 최고와 최저 탑승률을 기록한 노선이 모두 대한항공의 단독노선이라는 점도 흥미롭다. 몰디브 말레 노선이 98%로 가장 높은 탑승률을, 양곤 노선이 66%로 최저를 기록했다. 양곤은 지난 9월 97.7%로 동남아 노선 중 최고 탑승률을 기록한 바 있다.

 

 

미주 지역 평균 탑승률은 68.9%로 지난달에 비해 크게 하락했다. 미 서부지역의 평균 탑승률은 66.6%로 동부지역(70.45)에도 미치지 못하고 가장 낮은 실적을 기록했으며 북중미 노선도 70%대로 저조한 탑승률을 기록했다. 방학 수요가 대거 빠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9월 강세를 보였던 유럽지역도 평균 탑승률 78%로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헬싱키가 90.3%로 유럽 지역 내 가장 높은 탑승률을 기록했으며 10월28일부터 내년 3월까지 부정기편으로 운항되는 아시아나항공의 인천~리스본 노선의 탑승률은 88%로 헬싱키 다음으로 높은 탑승률을 보였다.

 

 

10월까지 감편 및 운항 중단의 움직임이 계속된 일본 지역은 공급석와 탑승률 모두 하락했다.

 

 

10월 일본 지역 총 공급석은 44만5617석으로 지난 9월(55만8220석)보다 약 20% 정도가 감소됐다. 고마쓰, 아오모리, 이바라키 등 5개의 노선의 운항을 중단하며 여객자 수 또한 전 달 대비 34만5199명에서 23만1150명으로 33% 감소했다.

 

 

<김미현 기자> julie@gtn.co.kr

 

 

에디터 사진


파일 다운로드 : 20191112_183133_10월 탑승률-종합(세계여행신문).xlsx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IATA인가대리점協 창립총회 "대리점 권익 최우선"
마이이얼트립, 누적가입자 1000만명 돌파
투어비스+호주관광청, 공동프로모션 진행
‘여행사 패키지상품이 가장 안전합니다’
해외여행시 5만원으로 뭘 할수있을까?
에미레이트항공 한국취항 스무돌
모두투어, 中장가계공항 ‘VIP라운지’ 오픈
BREAK TIME] 에어택시 상용화, 왜 더딜까?
하나투어, ‘대한민국SNS 대상’ 관광부문 수상
방한객, 전년대비 17% 늘어나
이번호 주요기사
‘여행사 패키지상품이 가장 안전합니다’
내달부터 유류할증료 또 인상
추석연휴 선발권 영향, 발권금액도 쑥쑥
25년10월 셋째주] 여행사 홈쇼핑 실적
베트남 ‘썬 푸꾸옥 에어웨이즈’ 출범
에미레이트항공 한국취항 스무돌
‘힐링여행지’ 미국 몬태나주 설명회
서울시관광 고용지원센터, 1000여명 새 일자리 제공
국제회의 유치 지원금 최대 2억까지
마이이얼트립, 누적가입자 1000만명 돌파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