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발급’ 무기한 연기? ‘상반기 운항’ 지연 조짐 오는 2016년 저비용항공(LCC, Low Cost Carrier) 업계 가장 ‘뜨거운’ 이슈는 에어서울이 될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 ‘제2저비용항공’인 에어서울은 정상적인 수순을 밟으면 내년 중순쯤 첫 운항 테이프를 끊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외부 잡음이 끊이지 않으면서 설립이 미뤄질 것이라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본지는 에어서울의 핵심적인 걸림돌이 무엇이며, 운항 개시 후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해 분석해봤다.
<윤영화 기자> movie@gtn.co.kr국내선·단거리 운항…
존재감 어필은
에어서울은 출범 후 아시아나항공의 국내선과 중단거리 노선을 운항한다고 알려져 있다. 국토교통부 공고문에 따르면 에어서울이 취항할 노선은 아시아나항공이 현재 운항 중인 ▲일본 오키나와·도야마·구마모토·마쓰야마·아시히가와·시즈오카·미야자키·요나고·다카마쓰 ▲중국 칭다오·옌타이·웨이하이 ▲캄보디아 프놈펜·씨엠립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베트남 다낭 등이다.
일부는 아시아나항공이 단독으로 운항하던 노선이지만, 인기 노선으로 분류된 지역은 이미 다른 저비용항공사에서 운항 중이다. 일례로 씨엠립은 현재 대한항공, 이스타항공 등이, 코타키나발루는 대한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등이 취항 중이다. 에어서울이 어떤 서비스와 운임으로 타 항공사 승객을 ‘빼앗아’ 올지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아시아나항공 승계?…
운수권 문제는
에어서울이 출범 후 곧바로 국제선을 운항한다는 의지를 밝혔으나, 업계에서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모기업인 아시아나항공이 운항하는 노선을 ‘승계’ 받을 것으로 알려졌지만, 항공업계는 이에 대해 운수권 문제가 걸릴 수밖에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A 국적 항공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서울에 노선을 넘겨주고 싶어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며 “일부 노선이 운항되는 지역은 항공자유화 구역이 아니다. 에어서울이 해당 운수권을 취득하지 못하면,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 모두 어중간한 위치에 머물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결정적 요인…
사업 면허 발급 지연
운항을 위해서는 사업 면허를 받아야 할 터. 에어서울의 가장 결정적인 걸림돌은 항공 운송 사업 면허 발급이 늦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0월19일 아시아나항공이 면허를 신청할 때만 하더라도 내년 상반기에는 에어서울의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지난 11월 말로 예상했던 사업 면허 발급이 무기한 연기되는 것에 이어, 국토부 장관과 차관까지 교체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 같은 이슈가 줄줄이 나타나며 올해 안에 에어서울 설립 허가가 어렵다는 전망이 짙어지고 있다.
게다가 설립 허가 후에는 5~6개월이 소요되는 운항 증명(AOC) 절차도 밟아야 한다. 올해 안에 사업 면허 발급을 받을 가능성이 희박해지면서, 아시아나항공이 당초 꿈꿨던 내년 상반기 취항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타 LCC 견제…
어떻게 물리칠까
이미 에어부산을 운항 중인 아시아나항공이 또 하나의 저비용항공사를 운영하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타 저비용항공사들과 부산시에서까지 에어서울의 운항을 반대하는 움직임이 거세게 이어졌다.
항공업계 전체에서도 이미 ‘저가’가 횡행하는 때에 또 다른 저비용항공사의 취항을 반기지만은 않는 분위기다. 노선이 중첩되는 가운데 항공운임도 하락을 가속하면서, 항공사들이 그나마 수익을 노려볼 수 있었던 중단거리의 ‘가격 오염’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다.
B 저비용항공사 관계자는 “에어서울이 사업을 시작하면 국적 항공사 8개 중 아시아나항공이 운영하는 곳은 3곳이 된다.
저비용항공사들뿐만 아니라 타 항공사들 입장에서도 한 곳에서 독단적인 운영을 하는 것이 반갑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안 그래도 ‘파이 나눠먹기’로 치닫는 업계를 더욱 오염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