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2020년 국내여행 트렌드를 R.E.F.O.R.M.의 6가지 키워드로 전망했다.
Regional Creator 지역 관광명소를 발굴,소개하는 유튜버 크리에이터의 성장
유튜브 채널 내 국내여행 관련 언급량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1~3분기에만 약 8만20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72%상승했다.지역을 소개하는 소규모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이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Enjoy & Critique Food 식사 종료는 별점과 함께,여행자 모두가 음식 비평가
SNS 채널을 통해 비주얼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며 음식 관련 시각적 콘텐츠가 증가했다.더불어 사용자 경험,정보 공유 등으로 인한 식사관련 리뷰와 후기 등 평가 관련 키워드의 언급량이 증가했다.
Find My Trip 초개인화 시대,세분화된 취향에 맞는 나만의 여행 찾기
취향의 세분화와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성장은 많은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트렌드다.이러한 트렌드가 국내여행에서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소셜미디어에 언급된 내용을 확인해본 결과 ‘낚시’와 같은 일반적인 키워드는 큰 증가가 없었지만 ‘얼음낚시’, ‘원투낚시’등 세분화된 활동의 키워드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Other Destinations 붐비는 인기 여행지에서 쾌적한 숨은 여행지로
대도시나 인기 여행지보다 비교적 덜 번화한 곳과 관련된 키워드가 상승한 것이 관측됐다.오버투어리즘을 피해 조용하고 쾌적한 여행을 즐기려는 트렌드가 확신됐다.
Redesign With Technology ICT 진화로 여행의 디지털화 가속
드론과 가상현실 등이 포함된 ICT기반의 다양한 액티비티를 즐기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ICT인프라와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을 기반으로 모바일 여행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공유경제 플랫폼이나 O2O플랫폼 역시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여행의 디지털화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Make Trips Nearby 짧게 자주 떠나는 여행의 일상화
2019년 상반기 국민여행조사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당일여행 횟수가 23.6%증가했지만 숙박여행 횟수는 2%감소했다.또한 여행 관련 SNS에서도 데이트,피크닉 등 일상에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활동의 언급량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