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Headline > Commentary

[코멘터리] 나는 경력자인가 전문가인가!

  • 게시됨 : 2019-03-22 오후 3:51:18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에디터 사진

 

근래 오래된 회사들의 창립기념 소식을 심심찮게 접한다. 대한항공 50주년…모두투어 30주년…투어2000과 KRT여행사 20주년 등등. 세계여행신문도 99년 4월 창간해 올해 20주년을 맞았다.

 

 

20년 전 기자생활을 할 때 많이 들었던 이야기 중 하나가 관광산업은 ‘굴뚝 없는 공장’이라는 말이었다. 외국인 1명 방문은 텔레비전 16대, 소형 승용차 0.2대를 수출하는 것과 같아서 미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큼지막하게 기사를 썼던 기억도 난다.

 

 

지금은 이러한 말들이 귀에 쏙쏙 들어오지는 않지만 당시에는 텔레비전과 승용차를 비유해 관광산업을 의도적으로 부각시키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다보면 경력자들의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듣게 된다. 해외 인솔을 다녀오면서 월급보다 더 많은 팁을 받아 술값으로 탕진했던 뼈아픈 사연에서부터, 여권을 빨리 받기 위해 종로구청 인근에서 밤을 꼬박 새운 이야기 등 밤새 들어도 못 다들을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온다. 업계 경력자들의 이야기라 귀담아 듣게 된다.

 

 

그런데, 우리 업계에 경력자는 참 많으나 전문가를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물론 여행전문가임을 자칭하는 분들도 더러 있어 다행스러운 일이다. 우리는 업계 수십년 경력을 가진 사람들을 경력자라고 해야 하나, 전문가라고 불러야 하나.

 

 

사전적 의미로 보면 일정기간 동안 경력이 있는 사람을 흔히 경력자라고 한다. 반면 전문가는 어떤 분야를 연구하거나 그 일에 종사해 그 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다.

 

 

모 항공사에 근무하시는 분은 이 난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명쾌한 해석을 내렸다.

 

 

“전문가의 전 단계가 경력자인데 경력자는 전문가가 아닐 수 있다. 반복되는 일을 단순 반복하느냐 적응 반복하느냐가 바로 경력자와 전문가를 가르는 핵심이다. 전문가는 바뀌는 시스템에 적응해 자동반응을 중지하고 상황에 맞는 반복으로 재생산하는 사람이다. 사회는 경력자도 필요하고 전문가도 필요하다.”

 

 

이처럼 제4차 산업의 성장으로 여행시장도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틈새에서 업계 오랜 경력자들의 노하우가 새롭게 바뀌는 시스템에 적응해 상황에 맞게 반복 재생산을 하게 된다면 모두 여행전문가라는 소리를 듣게 되지 않을까 싶다.

 

 

창간 20주년을 맞이한 나도 반문한다. 나는 경력자인가 전문가인가!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NHN, 여행박사 사업 정리 본격화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타이항공, 토파스 공동 발권 이벤트 시상식
에어로케이항공, 청주-기타큐슈 신규 취항
호시노 리조트, 특별한 일본 소도시 여행
홍콩익스프레스와 특별한 여행, 조구만 굿즈 전격 출시
Expedia TAAP, 여름맞이 숙박 세일 진행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말레이시아 메가 세일 캠페인 2025 개최
모두투어, 대리점과 함께 B2B 프로모션 실시
이번호 주요기사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올 여름 전세기 모객 어쩌나?
5월 내국인출국 239만명---2019년 대비 99.6% 회복
[2025년7월첫째주] 여행사 홈쇼핑 실적
서울시관광협회, 관광전문가 46명 배출
크루지아, 7월 크루즈 예약 프로모션 진행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하이난, 한국과 ‘관광협력간담회’ 개최
아부다비, 여름에도 빛나는 매력적인 여행지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