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탑승률

점차 더워지는 날씨 영향…5월 탑승률 난항

  • 게시됨 : 2019-06-07 오후 4:06:07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대부분 항공사 4월 대비 탑승률 하락

공급좌석 과다가 주요 원인

 

점차 더워지는 날씨의 영향으로 마카오, 방콕(신공항), 타이베이, 홍콩 중 주요 동남아 노선의 탑승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마카오 노선의 경우 평균 탑승률 70%를 보이며 4월 달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가장 높은 탑승률을 보유한 제주항공(81%) 또한 4월에 비하면 감소세다.

 

에디터 사진

 

 

특히, 에어마카오(32%) 다음으로 전체 공급좌석의 30%를 점했던 진에어는 50%의 낮은 탑승률로 지난 5월을 마무리했다. 큰 항공기재로 운항을 한 것이 탑승률 하락 원인으로 풀이된다.

 

 

인천에서 방콕으로 가는 노선 또한 4월 대비 하락하는 추세였던 가운데 이스타항공을 제외한 모든 항공사가 탑승률 하향세를 보였다. 티웨이항공이 87%의 가장 높은 탑승률을 보유했지만 지난 4월(91%)과 대비해 보면 4%의 탑승률 차이가 난다.

 

에디터 사진

방콕 노선에서 가장 많은 공급좌석인 47만 석 가지고 있는 타이항공은 해당 노선의 공급좌석 1위임에도 불구, 61%의 저조한 탑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대한항공(74%), 아시아나항공(76%)에 비해서도 저조한 수치다.

 

 

인천에서 타이베이로 가는 노선에서는 제주항공이 87%의 탑승률을 보이며 1위를 달성했다. 타이베이 노선에서는 아시아나항공(80%)이 대한항공(67%)에 비해 10% 가량 높은 탑승률을 보였다. 대한항공은 중화항공과 에바항공 다음으로 가장 많은 공급좌석 점유율인 20%를 보유한 것이 아시아나항공 대비 저조한 탑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중화항공은 타이베이로 가는 전체 공급좌석 중 22% 점유하고 있다. 하지만 공급좌석 과다로 인해 대한항공과 같이 낮은 탑승률을 보유하게 됐다.

 

 

위의 네 지역 중 공급좌석이 가장 많은 지역은 홍콩이다. 지난 5월 17만 석의 공급좌석을 공급해 인천에서 홍콩으로 가는 하늘길을 제공했다.

 

 

인천에서 홍콩으로 향하는 평균 탑승률은 77%로 위 네 개의 지역 중 가장 탑승률이 좋은 편에 속한다. 하지만 전통적인 비수기 시즌에 진입한 홍콩 행 항공사들은 지난달 대비 대부분 탑승률이 하락했다. 반면 제주항공의 실적은 상승세를 뗬다. 지난 4월 80% 중반 대에 머물렀던 탑승률을 보였던 제주항공은 지난 5월 90%의 탑승률로 인천에서 홍콩 노선으로 가는 노선뿐만 아니라 주요 동남아 노선에서도 탑승률 1위를 선점했다.

 

 

국적 저비용항공사들이 평균적으로 80%대의 탑승률을 보였으며 대형항공사들 중에서는 홍콩항공이 83%의 탑승률로 대형항공사 1위를 달성했다.

 

 

캐세이퍼시픽항공의 경우 6만 석에 달하는 공급좌석을 보유했으나 그에 상응하지 못하는 탑승객 수로 인해 66%의 탑승률로 나타났다.

 

<김미루 기자> kmr@gtn.co.kr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뉴욕공항, 한국학단 60명 입국거절
"반짝 스타"로 시작했다가 "여행업계 문제아"된 NHN여행박사
"대적할 자가 없다" 하나투어 독주
여행앱 이용 빈도, OTA-패키지간 큰 격차
여행테크기업 대표가 문관부 장관 발탁
1~5월 해외출국, 1200만명 넘어
국내 항공업계, 다양한 직군의 인재 적극 채용
모두투어, 코스닥상장 20주년---비전 공유
스타드림 크루즈, ‘난타’ 선상 공연 선봬
괌으로 여행 가면 "아동 항공권" 무료
이번호 주요기사
넥스트페이퍼, 괌관광청 한국사무소로 재선정
모두투어, 코스닥상장 20주년---비전 공유
괌으로 여행 가면 "아동 항공권" 무료
서울관광재단 길기연 대표 재연임
인터컨티넨탈 벳푸·인디고 가루이자와… 아시아 어워드 다관왕 수상
미국관광청, ‘메가팸 리유니언’ 성황리 성료
미국관광청, 세일즈 미션 통해 25개 현지 파트너사 방한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