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통계

LCC, ‘샌프란시스코·시드니’ 장거리 실적 순항

에어프레미아, 샌프란시스코 점유율 10.5%

  • 게시됨 : 2025-06-12 오후 5:08:57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미국과 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도전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성과를 내고 있다.

 

단거리·소도시에 집중하던 LCC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대형항공사(FSC)와의 장거리·대도시 경쟁에서도 밀리지 않고 있다는 평가다.

 

항공포탈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 취항 1주년을 맞은 에어프레미아는 약 8만9000여명의 여객을 수송하며 1년 만에 이 노선의 10.5%를 점유했다. 에어프레미아는 뉴욕, 바르셀로나 등 장거리 노선에도 비행기를 띄우고 있으며 7월엔 하와이 노선도 처음 취항한다.

 

2022년 12월 ‘인천-시드니’ 노선을 시작한 티웨이항공은 2년간 21만5000여명을 실어 날랐다. 탑승률은 평균 90%로, 다른 노선보다 높다. 파리 등 유럽 5개 노선을 운항하는 티웨이항공은 7월엔 캐나다 밴쿠버에도 비행기를 띄운다. 창사 후 첫 북미 진출이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10월 말 취항한 ‘인천-발리’ 노선에서 4만8000여명의 여객을 수송했다. 이 덕분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독점하던 인천-발리 노선의 지난해 여객은 43만 7396명으로 1년 전(29만4088명)보다 49% 많아졌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약 7시간 소요되는 발리 노선은 평균 탑승률 70%대 중반으로 인기 노선이 됐다.”라고 밝혔다.

 

LCC의 중장거리 노선 성공 비결은 프리미엄 작업에 따른 차별화로 분석된다. 20여 년간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노선을 공격적으로 띄우며 가성비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한 LCC들이 중 장거리 노선에선 가성비와 함께 프리미엄으로 차별화에 나섰는데 이게 효과를 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달 발리 왕복 항공권의 경우 제주항공은 76만원 중반으로 대한항공(106만원)보다 30% 저렴 하다. 일반석은 이처럼 싸게 내놓으면서도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도입해 FSC의 이코노미석 수요를 일부 흡수했다. 에어프레미아의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간격은 107~120㎝로, 아시아나 항공 이코노미석 간격(83~86㎝)보다 넓다.

 

하지만, 과제는 남아있다. 대부분 LCC는 장거리 노선 운행이 가능한 중대형 항공기 보유 대수가 적어 지연이 잦다. 코로나19 이후 항공기 인도가 늦어지고 있는 만큼 이 문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경쟁이 치열해지고 고환율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 것도 큰 숙제다.

 

<출처=에어포탈>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NHN, 여행박사 사업 정리 본격화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타이항공, 토파스 공동 발권 이벤트 시상식
에어로케이항공, 청주-기타큐슈 신규 취항
호시노 리조트, 특별한 일본 소도시 여행
홍콩익스프레스와 특별한 여행, 조구만 굿즈 전격 출시
Expedia TAAP, 여름맞이 숙박 세일 진행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말레이시아 메가 세일 캠페인 2025 개최
모두투어, 대리점과 함께 B2B 프로모션 실시
이번호 주요기사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올 여름 전세기 모객 어쩌나?
5월 내국인출국 239만명---2019년 대비 99.6% 회복
[2025년7월첫째주] 여행사 홈쇼핑 실적
서울시관광협회, 관광전문가 46명 배출
크루지아, 7월 크루즈 예약 프로모션 진행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하이난, 한국과 ‘관광협력간담회’ 개최
아부다비, 여름에도 빛나는 매력적인 여행지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