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탑승률

장거리 지역 ‘안도’ 단거리 지역 ‘휘청’

1월 지역별 평균 탑승률

  • 게시됨 : 2020-02-11 오전 10:37:48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코로나바이러스, 근거리 지역부터 탑승률 주춤

유럽·미주·대양주 등은 아직 피해 없어…

 

 

에디터 사진

 

대목이라는 설 연휴와 1월 성수기 시즌에도 여행업계는 웃을 수 없었다. 그간 탑승률을 견인하던 동남아와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구정 연휴부터 취소 문의가 이어지며 탑승률도 주춤하는 형국을 보였다. 그중 홍콩과 마카오가 각각 탑승률 68%, 72.2%로 시위의 여파를 감안하더라도 동남아시아 쪽에서는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필리핀, 태국 등 겨울에 한국인들이 많이 방문하는 스테디셀러 지역들도 80%대 초반으로 탑승률이 하락했다. 동남아 지역의 탑승률 추이는 1월보다 2월 더 급격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 일본이 주춤한 사이 계속해서 실적을 올렸으나, 코로나바이러스로 상승기류는 꺾이고 말았다. 1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대형 인센티브의 방문 등 긍정적으로 시작한 중국 시장이 채 몇 주도 지나지 않아 항공사들이 노선을 운휴하고, 고객들은 대거 중국 여행을 취소했다. 구정이 시작된 지난달 24일부터는 여행객들이 중국행 노선에 발길을 거의 끊어 중국 시장은 마비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1월 중국 탑승률은 66.9%로 2월에는 항공사들의 운휴로 하늘길 또한 운항을 거의 멈춘다.

 

 

일본은 공급석과 여객 모두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며 탑승률 76.8%를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 감편과 운휴에 들어간 항공사들이 다시 일본 시장에 손을 뻗으며 12월부터 공급좌석이 늘어나고, 일본 불매운동의 여파도 다소 주춤해지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중국 수요가 일본으로 흡수 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장거리 지역들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여파 없이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다. 특히, 호주와 뉴질랜드는 호주 산불과 화산 등의 이슈에도 불구하고 93%의 높은 탑승률을 나타냈다. 그중 브리즈번의 탑승률이 95.3%로 가장 높았다.

 

 

미주 지역도 출국자 수가 대폭 상승했다. 공급좌석은 평년과 비슷했지만, 출국자 수가 늘어 탑승률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유럽은 전체 16개 지역 중 7개 지역이 90% 이상의 탑승률을 보이는 등 전월 탑승률보다 10% 이상 상승하며 호조를 맞았다. 뮌헨, 로마, 암스테르담 등 지역이 가장 공급좌석 대비 높은 여객 수를 동원했다.

 

 

중동 지역도 고른 탑승률을 보였다. 중동 지역에 공급되는 5개 노선 모두 편차 없이 80~90% 의 준수한 탑승률을 기록했다.

 

 

장거리 지역은 취소 수수료가 근거리 지역보다 높아 여행객들의 취소건수가 많지 않았다는 점과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이 아시아보다 덜해 탑승률에 큰 지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에디터 사진에디터 사진

 

<나주영 기자> naju@gtn.co.kr

 

본지의 탑승률 분석이 전면 개편됐습니다. 기존 주요 노선으로 제한했던 탑승률 분석을 인천 출발 전 세계 노선으로 확대했습니다. 탑승률 분석의 목적은 관련업체가 주요 각 항공노선의 탑승률을 토대로 여행업계 시장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상품을 운용하는 데 보탬을 주고자 함입니다. 분석의 방법은 공급 좌석과 탑승객 수(출국자 수)를 비교해 집계한 것으로 국토교통부와 한국항공협회의 자료를 토대로 합니다. 집계과정에서 일부 항공사의 특정일 증·감편으로 인해 탑승률의 정확도가 해당항공사의 분석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최대한 오차범위를 줄여 계산한 탑승률인 만큼 시장분석에 보다 용이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면의 한계 상 전체노선 탑승률 분석표는 세계여행신문 웹페이지에 게재합니다.


파일 다운로드 : 20200211_103748_1월 탑승률 통합.xlsx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네이버 갑질 ‘도’를 넘고 있다.
제주항공 참사, 여행업 피해보상도 절실
40주년 맞은 관우클럽, 신년하례회 성료
사전 예고없이 제로컴 선언 ‘비엣젯항공’
지난해 BSP 발권실적, 8조원대 회복
아시아나 합병한 대한항공, 인사도 칼바람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총액도 허용
클룩, 한진관광과 MOU 체결 커스텀 패키지 선봬
마리아나관광청, 프로 골퍼 박보겸 선수 앰버서더 위촉
PAI, 플라이두바이 한국 GSA 계약 체결
이번호 주요기사
PAI, 플라이두바이 한국 GSA 계약 체결
네이버 갑질 ‘도’를 넘고 있다.
사전 예고없이 제로컴 선언 ‘비엣젯항공’
지난해 BSP 발권실적, 8조원대 회복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총액도 허용
마리아나관광청, 프로 골퍼 박보겸 선수 앰버서더 위촉
아시아나 합병한 대한항공, 인사도 칼바람
클룩, 한진관광과 MOU 체결 커스텀 패키지 선봬
25년1월2둘째주] 여행사 홈쇼핑 실적
24년 1~12월] 여행사별 BSP 실적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