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항공

일본·홍콩 지고 동남아 대체효과로 상승

12월 항공여객

  • 게시됨 : 2020-02-27 오후 5:25:05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국제선 여객 1.5% 상승

국내선 여객 14.3% 상승

 

에디터 사진 

 

 

2019년 12월 항공여객은 1036만 명으로 일본 및 홍콩노선의 여객 감소로 국제여객이 소폭 상승(1.5%)했지만 국내 여행 수요(14.3%)가 증가해 전체적으로는 4.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선 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했지만 국내선 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14.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제선 여객 실적은 일본 및 홍콩노선의 감소에도 중국·베트남·필리핀·대만노선의 여객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한 760만 명을 기록했다.

 

 

국제선 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일본(-39.0%)을 제외한 중국(16.4%), 아시아(14.3%)지역과 더불어 대양주(35.4%) 지역의 노선에서 크게 늘었다. 일본노선은 지난해 7월 취해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등에 따라 8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또 중국노선은 일본 불매운동 및 홍콩 사태에 따른 대체노선 투입 등으로 16.4% 증가했고, 사드사태 이전인 2016년 12월에 비해 11.1% 증가로 회복세를 타고 있다.

 

 

아시아의 경우 홍콩(1981→1744편, -12.0%) 노선의 운항감편에도 베트남(4062→5136편, 26.4%). 필리핀(2382→2984편, 25.3%). 대만(1887→2470편, 30.9%)노선의 운항증편 영향에 따른 여객이 증가하면서 대체목적지로의 발길이 늘었다.

 

 

홍콩 공항별 여객 증감도 인천 24.2% 감소(31만6388명→23만9885명), 김해 28.4% 감소(2만4468명→1만7518명)한 반면 제주도는 44.0%(9503명→1만3688명)가 증가했다. 대구는 비운항(9,721명→0명)했다.

 

 

항공사별로는 FSC가 25.2% 감소(11만1154명→8만3185명)했고 LCC 또한 38.9% 감소(8만1255명→4만9649명)했으며 외국항공사도 17.5% 감소(16만7671명→13만8257명) 했다.

 

 

대양주 노선은 괌(13만3683→14만9690명, 12.0%), 사이판(1만5824→7만1494명, 351.8%), 호주(6만1895→6만8008명, 9.9%), 호놀룰루(4만4821→5만6789명, 26.7%)노선 등의 여객이 증가하면서 호조세를 보였다. 아시아 노선의 여객 점유율이 46.4%로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중국노선 여객 점유율은 20.1%, 일본노선은 15.3% 각각 차지했다.

 

 

공항별 이용객 추이에서는 김해(-8.0%)·김포(-0.9%)·대구(-25.9%)·청주(-41.6%) 공항은 감소했지만, 인천(3.1%)·제주(36.5%)·무안(4.6%)공항은 증가했다. 김해는 베트남(19.9%)·대만(37.2%)·필리핀(15.8%)·말레이시아(77.9%) 노선 등의 여객증가에도 불구하고 일본(-50.5%)·태국(-9.3%)·홍콩(-28.4%) 노선 등에서 여객이 대폭 감소하면서 타격을 받았다. 제주는 일본노선(-40.1%)의 여객 감소에도 중국(50.6%)·대만(37.4%)·홍콩(44.0%)·말레이시아(19.5%) 노선 등의 여객 증가 영향을 받았다.

 

에디터 사진에디터 사진

 

 

대구도 베트남(37.2%)·대만(39.6%)·필리핀(152.9%)·중국(97.5%)노선 운항 증편에도 일본(-81.7%)노선 감편 및 홍콩(62→0편)·마카오(43→0편)·러시아(36→0편)의 비운항 영향에 타격을 받기는 마찬가지였다.

 

 

제주노선은 제주~김포, 제주~청주, 제주~대구 노선 등의 여객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15.2% 증가했고, 내륙노선 또한 김포~김해, 인천~김해, 김포~사천 노선 등의 여객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9.3% 상승했다. 이 외에도 울산(20.1%)·청주(21.7%)·제주(15.5%) 등 대부분 증가세를 보였다.

 

 

울산공항은 제주(1만537→1만6420명, 55.8%)노선의 여객 증가 했고 청주공항은 제주(8만7401→10만6378명, 21.7%)노선의 여객이, 제주공항은 김포(60만4262→70만1106명, 59.6%), 청주(8만4369→10만3593명, 22.8%), 대구(7만657→8만302명, 13.7%), 광주(6만4180→7만3610명, 14.7%) 노선에서 여객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NHN, 여행박사 사업 정리 본격화
참좋은여행, 사이판 영어캠프 상품 출시
미국관광청, IPW2025 글로벌 관광전략 발표
타이항공, 토파스 공동 발권 이벤트 시상식
호시노 리조트, 특별한 일본 소도시 여행
홍콩익스프레스와 특별한 여행, 조구만 굿즈 전격 출시
에어로케이항공, 청주-기타큐슈 신규 취항
Expedia TAAP, 여름맞이 숙박 세일 진행
모두투어, 대리점과 함께 B2B 프로모션 실시
말레이시아 메가 세일 캠페인 2025 개최
이번호 주요기사
에어로케이항공, 청주-기타큐슈 신규 취항
말레이시아 메가 세일 캠페인 2025 개최
NHN, 여행박사 사업 정리 본격화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