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여행신문 로고

HOME > Analysis > 통계

항공기 ‘조류 충돌’, 6년만에 2배 증가

‘야생동물통제직’ 전문직 채용키로

  • 게시됨 : 2025-04-17 오후 5:27:47
  • 트위터 공유버튼 페이스북 공유버튼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공유버튼

 

항공사고의 원인으로 종종 지목되는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건수가 최근 6년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후속 대책으로 조류 충돌 예방 인력을 충원하고 카메라와 레이더 등 조류 탐지 장비를 확충하는 방안을 내놓은 상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항공기와 조류가 충돌해 발생한 사고는 지난 2017년 218건에서 2023년 433건으로 늘었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 287건, 2019년 351건, 2020년 217건, 2021년 354건, 2022년 358건으로 집계됐다. 발생 건수가 주춤한 2020년을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국토부는 인력 충원, 조류 대응·탐지 장비 확충 등 조류 충돌 예방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공항별로 조류 예방 전담 인원을 늘려 ‘상시 2인 이상 근무 체계’ 확립을 원칙으로 했다.

 

국토부 점검 결과 무안공항을 비롯해 울산, 양양, 여수, 사천, 포항·경주, 원주 등 7개 공항은 야간·주말에 한 명만 근무하는 경우도 확인됐다. 인천국제공항과 김해공항은 예방 인력이 기준 인원(40명·24명)보다 각 8명, 6명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가 발표한 인력 확충 조치에 따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우선 ‘야생동물통제직’ 6명을 채용할 방침이다. 한국공항공사 자회사(KAC공항서비스·남부공항서비스)도 내부적으로 채용 규모를 조율 중이다.

 

국토부는 현재 150여명 규모인 전담 인력을 이달 내 40여명 추가로 충원해 190여명까지 늘린 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국형 조류 탐지 레이더 모델 마련에도 나선다. 이달 전문용역과 관계기관 TF 논의를 거쳐 오는 4월 중 우선 설치 대상 공항을 확정할 예정이다.

 

우선 설치 공항을 선정하면 4월 중 설계 착수와 구매 절차를 거쳐 연내 시범 도입, 내년 중 본격 도입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후 다른 공항에 대해서도 도입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현재 건설이 추진 중인 가덕도 신공항, 대구경복통합 신공항 등 지방 공항은 계획 단계부터 레이더 설치를 반영할 예정이다.

 

아울러, 레이더 관련 관계기관 인력(조종사, 관제사, 예방 인력 등) 간 유기적 협동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매뉴얼을 마련하고, 합동훈련도 실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내 공항 15곳 중 인천(4대), 김포·김해·제주(각 1대) 등 4곳에만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를 모든 공항에 최소 1대씩 보급할 방침이다.

 

<출처=에어포탈>

GTN 금주의 이슈
광고
AD
많이 본 기사
NHN, 여행박사 사업 정리 본격화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에어로케이항공, 청주-기타큐슈 신규 취항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말레이시아 메가 세일 캠페인 2025 개최
올 여름 전세기 모객 어쩌나?
5월 내국인출국 239만명---2019년 대비 99.6% 회복
베트남, 천연동굴 ‘드래곤 펄 케이브’ 정식 개장
비스터 빌리지, ‘더 빌리저’ 매체 론칭
미국관광청, 취향 따라 떠나는 자전거 여행지 소개
이번호 주요기사
비욘드코리아, 아우스트랄리스 크루즈 상품 소개
발트 3국, 로드쇼… 중세와 현대의 조화
도쿠시마현, 도쿠시마의 진짜 매력을 전하다
영남권 관광업계, 황진웅 초대 지회장 취임
투르크메니스탄항공, 인천-이스탄불 노선 신규 취항
단순 여행플랫폼에서 이젠 경쟁자로?
여행박사, 이달안에 ‘폐업’ 판가름
올 여름 전세기 모객 어쩌나?
5월 내국인출국 239만명---2019년 대비 99.6% 회복
[2025년7월첫째주] 여행사 홈쇼핑 실적
뉴스레터 신청하기

GTN 주요 뉴스를 메일로 받아보세요